tech/생각 2

좋은 서비스 운영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현재 회사에 구축해 놓은 시스템들에 많은것들이 부족하다고 느낀다. 젠킨스에서 워커노드나 마스터노드간에 동일한 환경을 유지하는것이 잘 안되고 있다. k8s나 도커를 사용해 job실행시 이미지 기반으로 동일한 실행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고, 리소스를 동적으로 늘리는것에 대한 안정성에 대한 보장이 필요하다.트래픽이 안정적으로 인입되어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알람, 자동복구 등에 대한 처리가 부족하다. 현재 트래픽이 서버에 도착한 이후에 Exception 이 발생했을때에 대한 알람은 sentry 로 존재하나, 트래픽이 서버에 제대로 도착하지 못 하는 모든 경우(서버가 죽어서) 는 서버의 헬스체크실패 알람 하나에 의존하고 있다.게임회사는 데이터가 생명이고 자주 변경/추가 가 이루어지는데, 이 처..

tech/생각 2024.03.01

프로그래밍 언어와 패러다임에 대한 짧은 생각

나무위키를 검색해보다 인상적인 부분을 발견해서 적어놓는다. Java의 예를 들어보자. 처음엔 날코딩에서 시작해 IDE를 쓰게 되고, 서드파티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다가 스프링 프레임워크라는 것이 있다는 걸 알게 되고, 프레임워크의 유연성에 감동하다가, 그 프레임워크를 만든 근간 기술인 디자인 패턴에 대해 공부하게 되고… 그렇게 차츰 자기도 모르게 고급 프로그래머가 되어 간다. 그러나 학습량은 결코 적지 않다. 위에서 트렌드를 이해해야 한다고 했는데, Java 쪽의 트렌드를 따라가려면 읽어야 할 자료가 엄청나게 많다.[14] 그래서 다른 것에 한눈팔 여유가 없다. 그래도, Java의 인기와 점유율은 여전히 상당하다. 최신 트렌드를 접하다 보면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접할 때 즈음엔 함수형 언어에 대해 알게 된다...

tech/생각 2023.10.14